1. 원고작성
① 원고는 한글 2007 이상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하여 투고신청서, 윤리지침확인서, 원문제공동의서와 함께 학회 홈페이지 온라인투고 창에서 파일을 제출한다. 원고교정이 완료되어 그대로 출판될 수 있는 완전한 상태여야 하며 이를 그대로 출판했을 때 발견되는 맞춤법, 띄어쓰기, 구두점 등의 오류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필자에게 있다. 심사용 원고에는 필자에 대한 인적 사항을 삭제하여 제출하되, 투고신청서에 필자 성명, 논문명, 소속기관명, 직위, 연락처(주소, 전화번호 등)를 명기하여 원고와 함께 제출한다.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제1저자(교신저자 포함)와 공동저자를 명확히 구분하여 통보하여야 한다. 학회지상에 저자를 소개하는 경우에 별도로 적시된 사항이 없으면 가장 먼저 소개된 저자를 제1저자 및 교신저자로 한다.
② 논문의 문장은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의미에 혼동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한자로 표시하거나 ( ) 속에 원어를 써넣는다.
③ 원고는 A4 용지에 글꼴 휴먼명조, 글자크기 10.5, 장평 97, 자간 -5, 여백지정(위 34.9, 아래 34.9, 왼쪽 34.9, 오른쪽 34.9, 머리말 15, 꼬리말 15, 제본 0), 들여쓰기 12.5pt, 줄간격 167%로 맞추어 작성한다.
2. 제목의 번호 부여 및 글자 크기
1단계 - Ⅰ, Ⅱ, Ⅲ… (15 진하게)
2단계 - 1, 2, 3… (13 진하게)
3단계 - 가, 나, 다… (11 진하게)
4단계 - (1), (2), (3)… (10.8)
5단계 - (가), (나), (다)… (10.8)
6단계 - ①, ②, ③… (10.8)
단, 논문 제목의 글자크기는 20 진하게, 각주 글자크기는 9.5로 작성한다.
3. 인용문
인용하는 내용이 짧은 경우에는 본문 속에 기술하고, 긴 경우(3행 이상)에는 본문에서 따로 떼어 기술한다. 따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인용 부분의 아래위를 본문에서 한 줄씩 비우고 각각 5글자씩 들여 쓰고, 줄간격은 150으로 한다.
4. 본문 내의 인용 문헌
①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 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이 문제에 대하여 김교육(1999)은 …
김교육(1999: 34)은 … (1999년도 문헌의 페이지 34)
②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 연도를 표시한다.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으로 가른다.
예: 한 연구(김교육, 1997; Anderson, 1998)에 의하면 …
③ 저자가 다수일 경우 3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4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내고 그 다음은 국문의 경우 ' ○○○외', 영문의 경우는 'et al.'로 나타낸다.
예: 김교육 외(1992)
Durkheim et al.(1986)
5. 표와 그림
①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과 같은 괄호를 사용하여 표의 제목은 상단에, 그림 제목은 하단에 제시한다.
예: <표 1>, [그림 Ⅰ]
② 표 및 그림은 원본 그대로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6. 참고문헌 작성
논문의 말미에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韓ㆍ中ㆍ日ㆍ西洋書 순으로 열거한다. 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서양 참고문헌의 작성법은 대체로 APA 양식을 따른다.
1) 단행본의 경우
김신일(1996). 교육사회학. 서울: 교육과학사.
2)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의 경우(반드시 해당 페이지를 밝힐 것)
이성진ㆍ이기우(1991). "영유아를 위한 가정중심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 교육학연구, 29(4), 1-28.
3) 기관의 학술지, 대학 논문의 경우
엄주정ㆍ이장용(1998). "근대시민사회의 형성과 교육의 기회균등 사상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 123-141. 용인대학교 인문사회과학 연구소.
4) 편저 속의 논문의 경우
권세기(1993). "통일한국의 사회통합과 정치교육." 통일한국의 새로운 이념과 질서의 모색. 한국정치학회(편), 91-111.
5) 학위논문의 경우
김종택(1987).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 변인."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곽수란(2002). "효과적인 학교 결정요인."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6)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의 경우
최상진(1999). "문화심리학: 그 당위성, 이론적 배경, 과제 및 전망." 한국심리학회 하계심포지움 문화와 심리학, 1-20. 8월 20일. 서울: 연세대학교 제 2인문관.
7) 신문기사의 경우
동아일보(2001.9.23). "사이버 대학 1학기 수강생 10명 중 8명 꼴 재등록." 19면.
이시형(2001.3.12). "대통령의 말실수." 조선일보, 6면.
8) 전자 매체, URL 등 인터넷 간행물의 표기
① 인터넷에서 정보를 인출한 경우 자료 원천의 이름과(혹은) 주소를 적은 후 인출한 날짜의 연월일을 구분하여 적고 " … 에서 인출"이라고 적어 문장을 끝낸다. 반드시, URL과 인출한 날짜를 기입한다.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2001, August 1). APA style for electronic resources. http://www.apastyle.org/styleelecref.html에서 2001. 9. 5 인출.
② 정기간행물의 경우
곽수란(2003). "효과적인 학교의 학생관련 과정변인 간의 인과관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3(1), 1-21. http://www.soe.or.kr에서 2003. 8. 30 인출.
③ 인터넷의 비정기간행물 문서의 경우 날짜가 명기되지 않고 일반 기관에서 게시한 인터넷 문서가 여러 페이지로 구성되었을 때는 그 문서가 들어간 홈페이지(혹은 첫 화면)로 연결될 수 있는 URL을 적어주고 작성 일자가 없음을 "작성일 불명"(영어는 no date를 나타내는 축약어 n.d.로 표기)이라고 명시한다. 문서작성자를 확인할 수 없는 문서는 그 문서의 제목을 저작자명으로 간주하여 제시한다.
GVU's 8th WWW user survey.(n.d.). http://www.cc.gatech.edu/gvu/user_surveys/survey-1997-10에서 2000. 8. 8 인출.
④ 기타(온라인 포럼, 토론 및 온라인 상에서 읽은 일간지 기사 등)
이정모(2000. 12. 24). "과학도로서의 심리학도의 자세/신조." http://www.koreanpsychology.org 회원광장 사이버특강에서 2001. 10. 3 인출.
유향숙(2001. 10. 12). "생명의 비밀 상자-게놈." 한국일보. http://www.hankooki.com에서 2001. 10. 12 인출.
한국일보(2001. 10. 12). "생명의 비밀 상자-게놈." http://www.hankooki.com에서 2001. 10. 12 인출.
9) 영문 참고문헌 작성 시 유의 사항
① 책명은 이탤릭체로 할 것
② 논문 제목은 첫 단어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나머지는 모두 소문자로 쓸 것(단행본의 경우도 동일). 단, 정기간행물의 명칭은 각 단어를 대문자로 표기할 것.
Airasian, P.W.(1991). Classroom assessment. NY: McGraw-Hill.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1983). Publication manual(3rd ed.). Washington, DC.
Astin, A.W.(1992). Educational choice: Its appeal may be illusory. Sociology of Education, 65, 255-260.
Gold, N.C.(1981). Meta-evaluation of selected bilingual education proj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③ 2인 이상에 의하여 작성된 논문이나 저서의 저자 표기는 첫 번째 저자만 성(last name)을 먼저 표기할 것.
Ball, S.J., R. Bowe, and S. Gerwirtz(1995). Circuits of schooling: A sociological exploration of parental choice of school in social-class contexts. The Sociological Review, 43, 52-78.
Bookhart, S.M. and D.J. Freeman(1992). Characteristics of teacher candidat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7-65.
④ 여러 사람이 쓴 글을 편집하여 펴낸 책에서 한 논문을 참고하였을 때는 아래의 방식을 따라 표기할 것.
Carnoy, M.(1993). School improvement: Is privatization the answer? In J. Hannaway(ed.), Decentralization and school improvement: Can we fulfill the promise? San Francisco: Jossey-Bass.
Wells, A.S.(1996). African-American students' view of school choice. In B. Fuller, R. Elmore, and G. Orfield(eds.), Who chooses? Who loses? Culture, institutions, and the unequal effects of school choic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⑤ 번역서 혹은 편역서의 경우 원저자명 뒤에 본문에서 인용한 번역서의 출판 연도를 괄호안에 제시하고 번역서명(한글 밑줄)을 적을 것. 원전의 제목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대괄호를 이용하여 원전의 제목을 표기하고 이어서 괄호로 묶어 역자명을 적고 "역 혹은 편역"으로 번역서임을 표시하고 마침표를 할 것. 그리고 번역서의 출판지와 출판사를 적고, 그 뒤에 원전의 출판 연도를 괄호를 묶어 제시할 것. 그러나 본문에서는 괄호 안에 원저자명을 적고 원전의 출판연도와 번역서의 출판 연도를 빗금(/)으로 구분하여 나란히 표기할 것[예: Bowles, S. & H. Gintis(1976/1986)].
Bowles, S. & H. Gintis(1986). 자본주의와 학교교육[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Educational reform and the contradictions of economic life]. (이규환 역). 서울: 사계절. (원전은 1976에 출판)
7. 초록
논문 제출시는 국문 요약과 영문초록을 첨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국문 요약은 글꼴 휴먼명조, 글자크기 9, 들여쓰기 2, 줄간격 150, 장평 90, 자간 0로 하고, 왼쪽 5, 오른쪽 5만큼 들여써서 작성하며, 말미에는 주제어(Key words)를 선정하여 정리한다. 영문초록의 글자 크기는 'ABSTRACT'를 13 진하게, 제목은 11 진하게, 이름은 10, 본문은 10으로, 들여쓰기 2, 줄간격 170, 장평 90, 자간 0으로 작성한다.